반응형

 혹시 우리 아이가 자주 멍하게 있거나, 이유 없이 쓰러진 적이 있으신가요? 단순한 피로나 주의력 문제로 넘기기 쉬운 이런 증상들이 **소아청소년 뇌전증(epilepsy)**의 신호일 수 있어요.
우리 아이들의 두뇌는 아직 성장 중이기 때문에 뇌전증이 조기에 발견되고 잘 치료되면 정상적인 삶으로의 회복 가능성이 높답니다.
이 글에서는 소아청소년 뇌전증의 정의, 증상, 진단법, 치료와 예후까지  정리해 드릴게요!

📌 뇌전증, 단순한 '발작' 그 이상이에요
소아청소년기 뇌전증은 조기 진단과 정확한 치료가 핵심입니다.


🔍 뇌전증이란?

 뇌전증은 "만성적인 뇌 질환"으로, **2회 이상의 원인 없는 발작(경련)**이 반복될 때 진단돼요.
뇌의 신경 세포들이 갑자기 과도하게 흥분하면서 나타나는 전기적 이상으로, 일시적인 의식 소실이나 신체 경련을 유발하죠.

✅ 주요 정의 (대한소아신경학회 기준)

  • 만성 신경계 질환
  • 24시간 이상 간격으로 원인 불명 발작이 2회 이상 발생
  • 또는 단 1회의 발작이더라도 향후 재발 가능성이 높은 경우

🧒 소아청소년 뇌전증의 주요 증상

아이는 어른처럼 자신의 증상을 잘 설명하지 못하니, 부모나 선생님의 관찰이 정말 중요해요.

🔹 대표 증상 리스트
멍한 눈빛, 말이나 행동 멈춤 (absent seizure)
몸 일부 또는 전체 경련 (tonic-clonic seizure)
갑자기 쓰러짐, 고함
입에 거품, 대소변 실금
잠잘 때 이상행동 (팔 휘두르기, 갑작스런 웃음 등)
말이 꼬이거나, 반응 없음

❗️TIP: ‘자주 멍하니 있는다’는 평범한 행동도 반복된다면 꼭 전문의 상담을 받아보세요.


📊 얼마나 자주 발생할까요?

2020년 기준 대한뇌전증학회 통계에 따르면,

  • 소아청소년 뇌전증 유병률: 약 0.5~1%
  • 매년 신규 진단 환아: 1만 명 이상
  • 전체 뇌전증 환자의 약 40%가 18세 이전에 발병해요.

🔸 연령대별 유병률
(대한신경학회 소아 뇌전증 임상지침 2022)

연령대유병률(%)
0~4세 0.8
5~9세 0.6
10~14세 0.5
15~18세 0.4

🧠 진단은 어떻게 하나요?

정확한 진단은 치료의 방향을 결정짓는 핵심이에요!

🔎 진단 방법 리스트
문진 및 병력 청취 – 발작 상황, 가족력, 출생 정보 등
뇌파 검사(EEG) – 뇌의 전기신호 이상 확인
뇌 MRI – 뇌구조 이상 여부 확인
혈액검사 및 유전자 검사 – 대사성 질환·희귀유전질환 감별

❗️진단 후 뇌전증의 ‘유형’을 정확히 파악하는 게 중요해요!

  • 예: 롤랑딕 뇌전증(양성), 영아연축증(드라베증후군 등 희귀형), 결절성 경화증 동반형 등

💊 치료는 어떻게 하나요?

치료는 단순히 약만 먹는 게 아니라, 아이의 전반적인 발달과 삶의 질을 지키는 과정이에요.

🔹 치료 방법 리스트
항경련제 복용

  • 첫 선택은 1종의 약물 → 효과 없으면 2종 이상 병용
  • 70% 이상의 환아에서 1~2종 약으로 발작 완전 조절 가능

식이치료(케톤식)

  • 약물 반응이 없거나 부작용이 큰 경우 효과적
  • 지방 비율이 높고 탄수화물 제한된 식단으로 뇌 흥분 억제

수술적 치료

  • MRI상 병소가 확인되는 경우 (기형, 종양 등)
  • 예: 측두엽 절제술, 대뇌반구 절제술

신경조절치료

  • 미주신경자극기(VNS) 삽입술
  • 자극 통해 뇌 흥분 억제

📈 예후는 어떤가요?

가장 많은 질문이 바로 “완치될 수 있나요?”죠!

📌 정답: YES! 완치 가능해요. 특히 소아기일수록!

  • 소아청소년기 뇌전증의 약 70%는 성장하며 자연소실
  • 양성 롤란딕 뇌전증은 16세 이전 대부분 소실

🔹 뇌전증 유형별 5년 후 발작 조절률
① 양성 롤란딕 뇌전증: 약 95% 완전 조절
② 소발작(Absence): 약 80% 이상
③ 드라베증후군: 약 30~40% 조절, 발달 지연 동반
④ 다형성 발작: 20% 이하, 수술 고려


✅ 부모님이 꼭 기억해야 할 5가지

🧸 소아 뇌전증, 이렇게 도와주세요!

발작 중엔 무리하게 붙잡지 말기 (호흡 방해될 수 있어요)
시간 기록하기 – 5분 이상 발작 시 응급
약 복용 시간 철저히 지키기
아이 자존감 유지 – 뇌전증 = 병든 아이라는 인식 NO!
학교 선생님과 소통하기 – 발작 대처 교육 필수


🍎 뇌전증 예방이 가능할까요?

선천적 원인이 많지만, 일부 후천적 뇌 손상은 예방 가능해요.

🔹 예방 가능한 요인 리스트
출생 전후 저산소증 방지 – 산전 관리 철저히
두부 외상 방지 – 자전거 헬멧, 놀이기구 안전벨트
고열 경련 반복 방지 – 고열 시 신속 해열
정신적 스트레스 완화 – 수면 부족, 과도한 긴장 피하기


🧃 아이의 뇌, 부모의 관심이 지킨다

우리 아이의 멍한 시선, 단순한 주의력 산만일까요?
혹시 모를 뇌전증일 수도 있다는 마음으로 관찰하고 전문가의 진료를 받는 게 중요해요.

꾸준한 약 복용과 규칙적인 생활, 케톤 식단, 사랑과 응원만으로도 아이는 놀랍도록 건강해질 수 있어요.

아참, 요구르트도 뇌전증에 좋대요!
장내 미생물 균형이 뇌 신경 전달물질과 연결되어 있다는 최신 연구도 있어요.
뇌와 장은 뇌장축(gut-brain axis)으로 연결되어 있다는 사실! 이젠 뇌 건강도 장내 환경 관리부터 시작해보세요😄

아이에게 필요한 건…
💊 약
🍲 건강한 식사
💤 푹 자는 잠
💖 그리고 부모의 꾸준한 관심과 사랑입니다.


📚 참고자료

  1. 대한소아신경학회 진료지침 (2023)
  2. 대한뇌전증학회 소아청소년 뇌전증 통계 (2020)
  3. Epilepsia Open, 2021; "Pediatric Epilepsy Update"
  4. Child Neurology Journal, 2022; "Keto Diet in Pediatric Refractory Epilepsy"
  5. WHO Epilepsy Report, 2019
반응형
  •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
  •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
  • 페이스북 공유하기
  •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