도넛보다 초콜릿 한 조각이 더 건강에 좋다고 하면 믿기시나요?
특히 당뇨병이 걱정되신다면, 달지 않은 다크 초콜릿이 꽤 괜찮은 선택이 될 수 있어요.
그 근거가 바로, 하버드대 연구팀의 20년간 추적 조사 결과입니다.
📌 다크 초콜릿, 2형 당뇨병 발병률 최대 21% 낮춘다
하버드대 연구진, 영국의학저널(BMJ)에 발표한 장기 추적 코호트 연구 결과
🍬초콜릿은 당뇨에 안 좋다? 꼭 그렇진 않아요!
초콜릿은 당분이 많아서 당뇨에 안 좋다고 알려져 있지만,
**‘어떤 초콜릿을, 얼마나 먹느냐’**에 따라 이야기는 완전히 달라집니다.
미국 하버드대 연구진은 **미국 간호사 건강 연구(NHS)**와 **의료 전문가 추적 연구(HPFS)**에 참여한
무려 199,208명의 미국인을 대상으로 초콜릿 섭취 습관과 당뇨병 발병률을 비교했어요.
연구 기간은 약 20년.
그 결과는 놀라웠습니다.
🧾연구 핵심 결과 요약
- 총 18,862명이 연구 기간 중 2형 당뇨병에 걸림
- 일주일에 초콜릿 5개 이상 섭취한 사람은
- 초콜릿을 전혀 먹지 않은 사람보다 당뇨병 위험이 10% 낮음
- 다크 초콜릿을 주 5회 이상 섭취한 그룹은
- 당뇨병 발병률이 21% 낮음
- 다크 초콜릿을 1개 더 먹을 때마다
- 2형 당뇨병 위험 3% 추가 감소
- 반면, 밀크 초콜릿은 효과 없음,
- 체중 증가만 유발했다는 결과가 나왔어요.
🔬왜 다크 초콜릿은 당뇨병에 좋을까요?
그 중심에는 바로 **플라보놀(Flavanol)**이 있어요.
이 성분은 항산화 및 항염증 작용으로 당뇨 예방에 효과를 보여주고 있답니다.
🍫다크 초콜릿의 주요 기전
- 플라보놀의 항산화 효과
- 인슐린을 생산하는 췌장 β세포의 산화 스트레스를 낮춰줌
- 항염증 작용
- 염증성 사이토카인(IL-6, TNF-α 등) 억제
- 혈관 내피 기능 개선
- 혈류 개선 → 인슐린 저항성 감소
- 인슐린 감수성 향상
- 세포가 인슐린에 더 잘 반응하도록 도움
💡 즉, 다크 초콜릿은 췌장 보호 + 혈관 건강 + 인슐린 기능 향상으로
2형 당뇨병을 다방면에서 예방하는 효과를 보여줍니다.
📉통계로 보는 다크 초콜릿의 효과
주 5회 이상 | -21% 감소 | 다크 초콜릿 |
주 1회 증가당 | -3%씩 감소 | 누적 효과 있음 |
주 5회 이상 (밀크 초콜릿) | 변화 없음 | 오히려 체중 증가 |
출처: Harvard T.H. Chan School of Public Health, BMJ 2024
❌주의! 다크 초콜릿도 '무조건 많이'는 안 돼요
- 설탕 함량이 낮고 카카오 70% 이상인 제품으로 선택하세요
- 초콜릿 한 조각(약 10~15g) 기준, 하루 1~2조각 정도면 충분해요
- 너무 많이 먹으면 칼로리 과잉으로 체중 증가 가능성 있음
✅다크 초콜릿 외 당뇨병 예방 TOP 5 식습관
- 다크 초콜릿
- 플라보놀로 항산화 + 인슐린 민감도 향상
- 채소와 과일
- 식이섬유와 비타민이 풍부해 혈당 조절에 도움
- 특히 베리류, 사과, 브로콜리 등
- 통곡물 식사
- 흰쌀 대신 현미, 귀리, 보리로 대체
- 혈당지수(GI)가 낮아 포도당 급등 억제
- 불포화지방산 섭취
- 견과류, 올리브유, 연어에 많고
- 염증 억제 및 혈관 건강 개선
- 요구르트(무가당)
- 장내 미생물 군집 개선 → 인슐린 저항성 감소
- 프로바이오틱스가 장건강 → 혈당과 직결
🧠결론! 초콜릿은 죄가 없다? 선택은 '다크'로!
“당뇨가 걱정돼서 초콜릿은 포기했어요…” 하셨던 분들,
이제는 다크 초콜릿 한 조각으로 달콤한 건강을 챙기실 수 있어요😊
물론 적당한 운동과 식이 조절은 기본이고요!
초콜릿만 믿고 운동 안 하시면, “다크” 말고 “다크서클”만 생길 수도 있습니다😂
건강한 췌장과 혈관을 위해,
오늘도 다크 초콜릿 한 조각과 가벼운 산책 어떠세요?
📚참고문헌
- Harvard T.H. Chan School of Public Health. (2024). "Chocolate and Type 2 Diabetes Risk." BMJ.
- Greenberg JA, et al. "Chocolate intake and diabetes: a systematic review." Eur J Clin Nutr.
- Koliaki C, et al. "Dietary Flavonoids and Their Role in Diabetes." Nutrients.
- American Diabetes Association. (2023). Diabetes Statistics Report.
-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(NIH). "Flavonoids: Health benefits and mechanisms."
'Health_Medical Gadget > 당뇨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당뇨병 환자, 신장을 지키는 결정적 선택은 '이 진료'였습니다 (0) | 2025.04.14 |
---|
최근댓글